[뉴스분석]‘주 52시간’ 구체기준 뭔지…고용부 ‘늑장’

채널A News 2018-06-07

Views 1



[리포트]
이렇게 다가오는 근로시간 단축 시행으로 사업장에선 큰 혼란이 빚어지고 있는데 정부는 아직도 느긋한 것 같습니다.

정책사회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

오늘의 키워드 ‘시한폭탄’ 입니다.

다음 달 1일이면 300인 이상 사업장은 당장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해야만 하는데요. 기업들에겐 '시한폭탄'이나 다름 없습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는 아무런 지침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1. 직원들의 여러 활동 중 어떤 것을 근무로 봐야하는지 기업마다 혼란스러워한다고요?

그렇습니다. 기업들이 벌써부터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거래처와의 식사부터 근무시간 중 잠시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시는 행위. 퇴근 이후 집에서 하는 서류작업같은 잡무처리를 근무로 봐야햐는지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다보니 혼선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1-1. 특히 회사 밖에서 거래처 사람을 만나는 행위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업체마다 기준이 다르다고요?

예 대표적인 게 거래처 사람과의 저녁 약속인데요, A기업은 거래처 약속에 대해 4시간 까지는 회사 업무로 간주하기로 했습니다.

반면에 B기업은 아예 회사밖 저녁 약속을 잡지 말라고 지침을 내렸습니다.

아예 퇴근 후 고객을 만나는 행위를 근로시간으로 아예 인정하지 않는 기업도 많습니다.

2. 회사 임원의 차량을 운전하는 기사들, 중간에 대기하는 시간이 많은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운전기사가 다른 곳에서 휴식을 취하는 등 자유롭게 활동한다면 근로시간에서 제외하고, 대신 차량 근처에서 계속 대기하는 상태라면 근로시간으로 인정하는 식의 논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유로운 활동과 대기라는 개념 자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들다는 게 업체들의 반응입니다.

3. 만일 주 52시간 근무를 지키지 못하면, 사업주들은 당장 관련법을 위반하게 되는 거죠?

그렇습니다. 기업들은 당장 근로시간 상한을 지키지 못하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의 처벌을 받게 됩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 준비가 완료됐다는 기업은 10곳 중 2곳에 그쳤기 때문에 범법자가 양산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하지만 스위스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노동기구 총회에 참석 중인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자들을 만나 "300인 이상 사업장들은 충분히 준비가 돼 있다"며 현장상황과는 거리가 먼 발언을 했습니다.

고용부는 다음 주에 근로기준법 매뉴얼 1만 5천부를 배포하기로 했는데 여기에도 사업장별 다양한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담기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책사회부 김민지 기자였습니다.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