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우리나라와 중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미·중 간 무역분쟁으로 중국의 환율 조작국 지정 여부가 가장 큰 관심이었는데요.
일단 트럼프 정부도 중국과 더 큰 충돌은 피한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 특파원 연결합니다. 김영수 특파원!
미국 재무부가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도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했지요?
[기자]
이곳 뉴욕 금융시장에서는 한때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기도 했는데요.
일단 말씀하신 대로 트럼프 정부도 중국과 더 큰 충돌을 피한 것으로 보입니다.
11월 중간선거도 얼마 남지 않았고요.
관찰 대상국으로 지정해 놓은 만큼 환율 조작국 지정은 또 협상 카드로 남겨놨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중국은 그동안 24년 만에 다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로 주가가 급락하기도 했는데요.
일단 최악의 상황은 피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관찰 대상국으로 지정이 됐습니다.
최근 대미 무역흑자도 많이 줄였고요. 예상대로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습니다.
미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지정 요건은 2백억 달러가 넘는 현저한 대미 무역흑자와 GDP의 3%를 초과하는 경상흑자, 지속적인 외환 시장 개입 그러니까 GDP 대비 2% 이상 달러 매수 개입 등 3가지입니다.
미국은 지난 2016년부터 해마다 4월과 10월 두 차례 환율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6차례 모두 2개 요건만 해당돼 중국과 일본, 독일과 스위스 인도 등과 함께 관찰 대상국으로 분류됐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4_20181018071917225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