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불이 난 곳은 통신 핵심 설비인 전화선과 케이블이 밀집한 지하 통신구입니다.
그렇지만 연소방지설비를 설치할 의무가 없는 사각지대여서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불이 난 KT 건물 지하는 16만8천 유선 회로와 광케이블 220조 뭉치가 설치된 곳입니다.
서울 서대문과 마포, 중구 등 5개 구 일대를 연결하는 통신 허브이지만, 지하구에는 소화기 1대만 비치됐을 정도로 화재 대비에 취약했습니다.
화재 예방을 위한 법적 장치도 미미합니다.
소방법에는 지하구 길이가 500m 이상일 경우 연소방지설비를 설치해야 하지만, 불이 난 통신 지하구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았습니다.
[오성목 / KT 사장 : 소방법에 여기에는 설치 안 해도 된다는 규정이 있어서 규정대로 우리는 제대로 시설했고 운용했습니다.]
결국, 화재 초기 진압에 실패하면서 대규모 '통신대란'이 발생해 시민들은 극심한 불편을 겪어야 했습니다.
[공하성 /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국가 중요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소방시설 설치 대상에는 대부분 제외됐다는 것이 큰 문제라서….]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지하 통신구에 불이 날 경우 유독 가스로 소방관 진입이 어려우므로 자동 소화설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양일혁[
[email protected]] 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81125175506687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