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이 숨을 쉰다…‘고증 통해 복원’ 전통 아교의 부활

채널A News 2019-05-02

Views 1



천 년 넘게 전해 내려온 우리 전통 접착제인 아교, 1980년대 이후 화학 접착제 때문에 명맥이 끊겼는데요,

고증을 통해 전통 방식으로 아교를 복원했습니다.

이상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우리 전통 건축물의 단아한 자태를 돋보이게 만드는 단청 채색.

전통 안료를 목재에 채색하려면 접착제 역할을 하는 아교가 필요합니다.

1400년 전 고구려에서 사용하기 시작해 조선 전기 경국대전, 세조실록에도 아교 제조법이 소개됐을 만큼 오래된 재료이지만,

1980년대 이후 값싼 화학접착제의 보급으로 명맥이 끊겼습니다.

[김성규 / 무형문화재 단청장]
"쓰고 싶어도 쓸 수 없는 상황, 대체 아교가 없기 때문에…."

일일이 소가죽의 털과 기름을 제거하고 이틀간 가마솥에 고아낸 뒤 진액을 추출해 건조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정용재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그분들도 20~30년 동안 생산을 안 하셨기 때문에 옛날에 쓴 도구나 시설이 없어서 구전이나 말로 (방법을) 재현하는 걸 어려워하셨고요."

지난 2014년, 숭례문 복원 뒤 4백여 곳에서 단청이 떨어진 것도 화학접착제 사용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가죽으로 만든 아교는 나무가 팽창할 때 함께 늘어났다가 같이 줄어들지만,

비닐 성분인 화학접착제는 신축성이 없어 떨어져 버립니다.

연구진은 고증을 통해 복원한 전통 아교 제작 공정을 현대화하고, 내후년부터 실제 문화재 복원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상연입니다.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