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분기 가계 빚 증가 폭이 1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에 더해 부동산 경기가 침체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론이 다시 불거질 전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조태현 기자!
가계 빚 증가 폭이 줄어들었는데 배경이 무엇인가요?
[기자]
가계 빚을 말하는 가계신용 잔액이 1분기 말 기준 1,540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3조 3천억 원, 4.9% 증가한 건데요,
이는 2004년 4분기 이후 최소 증가 폭입니다.
또 2016년 4분기 이후 9분기 연속 둔화이기도 합니다.
가계대출은 1,451조 9천억 원으로 5조 2천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고,
신용카드 사용 금액 등을 말하는 판매신용은 감소했습니다.
가계 빚 증가 폭이 둔화한 건 정부의 규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요,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DSR 규제를 확대하면서 금융권이 대출 문턱을 크게 높였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각종 부동산 규제로 주택 시장이 얼어붙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계 빚 증가 폭이 줄었는데, 통화 정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기자]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가계 빚 증가 폭이 한풀 꺾인 셈인데요,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들었던 이유 가운데 하나가 가계 빚의 빠른 증가 속도였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주 금요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개최를 앞두고 인하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한층 더 커질 전망입니다.
이미 각종 연구 기관에선 금리 인하가 시급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데요,
대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했고,
국내 경제를 비교적 호의적으로 평가하던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마저도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두 달 만에 0.2%포인트나 낮춘 2.4%로 제시할 정도로 경기 악화 상황이 심상치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 가계 빚 증가 폭도 소득 증가율보다는 여전히 높은 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여러 차례 금리 인하 시기가 아니라고 밝혀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1.75%로 동결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다만 만장일치였던 지난 금통위와는 달리, 이번에는 인하를 요구하는 소수 의견이 제기될 수 있다는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522134237930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