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잇따른 ESS, 즉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사고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화재는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지만, 제품 결함은 아니라는 결론이어서 논란은 여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비축 시스템인 ESS, 즉 에너지저장장치는 지난 2017년 8월 이후 23건이나 화재가 발생하면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민관합동 조사위원회가 구성됐고, 5개월여 동안의 활동 결과 제품 결함이 아니라 관리 부실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놨습니다.
조사위는 각 화재 사건과 똑같은 경우를 놓고 벌인 실증실험 등을 바탕으로 ESS 화재 원인을 크게 4가지로 분류했습니다.
이 가운데서도 전기충격이 배터리 시스템에 유입될 때 배터리 보호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최윤석 / 울산과학기술원 교수(조사위원) : 동일 실험을 반복 수행한 결과 배터리랙 보호 장치 안의 직류접촉기 절연 성능이 떨어질 경우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 됐습니다.]
또, 산간이나 해안지역에 설치돼 이슬과 먼지에 많이 노출되는데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화재로 이어지는 관리 부실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조사위는 이 밖에도 설치 부주의 등을 화재 이유로 꼽았지만, 제품 결함이 화재로 이어진 경우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일부 배터리셀에서 극판 접힘과 같은 결함이 발견됐지만, 실험 결과 화재로 이어지는 원인은 아니었다는 겁니다.
[이승우 / 국가기술표준원장 :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하였으나, 해당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조사위는 제조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수많은 화재 사건에서 제조 결함은 없었다는 결론이어서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사위는 다만, 배터리 보호시스템이 전기 충격을 차단하지 못하거나 열악한 환경에서 성능이 저하돼 폭발하는 것은 제조사의 책임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ESS 화재 재발을 막기 위해 옥외에 전용 건물 설치를 유도하고, 소방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동시에 특화된 소방기준을 새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YTN 홍선기[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611230805641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