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버스업계의 52시간 근무제와 요금 인상 등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요금 인상을 하되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사태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김학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전국버스노조가 파업을 예고하자 경기도가 내놓은 해결방안은 요금인상.
시내버스 2백 원과 광역버스 4백 원을 올렸는데, 파업이 임박하자 협상 시한에 쫓겨 부랴부랴 결정했습니다.
매일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불만이 적지 않습니다.
[서유찬 / 경기도 수원시 세류동 : 너무 갑작스러운 버스요금 인상은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여론조사를 통해서 하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아요.]
이와 관련해 열린 시민 대토론회에서도 당국을 성토하는 주장이 쏟아졌습니다.
[김경린 / 경기도 수원시 남창동 : 분명히 대학생들에게도 큰 부담이 될 거란 말이죠. 그럼 시장님이나 아니면 버스회사, 버스 운수 종사자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실지.]
전문가들은 정부가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는 만큼 지원을 늘려야 하고 버스업체와 시민도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데 대체로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강경우 / 한양대 교수 : 서울하고 비교되니까 경기도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요금인상도 해야 하고 버스재정지원도 늘려야 하고 노선배차도 그렇고.]
준공영제와 관련해 서울시 방안은 업체 이익만 늘려주는 만큼 경기도가 시행할 경우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염태영 / 수원시장 : 국가가 그 부분(52시간 근무제)에 대한 일정 부분을 재정지원을 하고 경기도는 준공영제로 나가기 위해서 투명한 경영을 전제로 해서 보전을 해주는 방식으로 해야죠.]
결국 당국이 면밀한 검토를 거쳐 대책을 마련하고 버스업계나 운수종사자, 시민 모두 최선을 위해 고통을 분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YTN 김학무[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19061221260476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