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신 개발돼도 집단면역 회의적"
[앵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돼도 미국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는 미 보건 당국자의 전망이 나왔습니다.
백신의 항체 형성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데다, 백신에 대한 미국인들의 거부감도 한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윤석이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입니다.
[앵커]
전세계 각국이 백신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인데, 의외의 전망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미국인들의 신뢰를 받고 있는 앤서니 파우치 국립 감염병연구소장의 언급인데요.
미국인의 상당수가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입장인 데다 백신의 항체 형성률이 70%대에 그칠 경우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집단면역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겁니다.
파우치 소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홍역 백신의 경우 항체 형성률이 98%에 달하지만 개발되는 코로나19 백신은 70~75% 수준이면 만족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앞서 지난 5월 CNN의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 백신이 싼값에 대량으로 보급돼도 접종하겠다는 응답자는 66%에 그친 바 있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미국에는 상대적으로 놀랄 만큼 반과학적, 반 백신 정서가 있다"며 "진실에 대해 교육하려면 해야 할 일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 억제를 위한 중요한 감염자의 접촉자 추적도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백신 개발과 함께 치료제 발굴 역시 큰 관심사인데요.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의 미국 내 가격이 공개됐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렘데시비르 가격이 총 3천120달러, 우리돈 375만원가량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치료에 보통 5일이 걸린다는 가정에 따른 산정치 인데요.
만약 치료가 10일로 길어진다면 약값은 민간보험 가입자는 5천720달러, 우리돈 687만원, 공공보험 가입자는 4천290달러가 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측은 "실제 가치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매겨졌다"며 "렘데시비르를 복용하면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어 1만2천 달러, 약 1천400여만원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또한 길리어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인도의 몇몇 복제약 제약회사들은 1천달러, 약 120만원 미만의 복제약도 내놓을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경제 여파가 내년 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미국 내 대기업 CEO들의 전망도 나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내 주요 대기업 최고경영자들의 관측인데요.
미국 대기업 CEO들의 모임인 '비즈니스라운드 테이블'이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더니 70%가량이 "내년 말까지 경영 여건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반면 27% 정도는 "내년 이후에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이 모임에는 제너럴모터스와 애플, 존슨앤드존슨 등 미국 내 굴지의 대기업 CEO들이 대부분 소속돼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최근 'V'자 형태의 빠른 회복을 기대하는 시각이 있었지만 최근 다시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후유증이 길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NBC 방송은 "미국에서 가장 힘 있는 기업인들조차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며 "경제 환경이 얼마나 불확실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앵커]
다른 사안도 짚어봤으면 하는데요.
러시아의 '미군 살해 사주 의혹'이 미국 정가의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러시아가 탈레반 측에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살해를 사주했고, 실제 여러 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가로 보도했습니다.
앞서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련 첩보를 보고 받고도 이를 묵살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다만 러시아의 사주로 미군이나 연합군이 몇 명 사망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젯밤 트윗을 통해 "신빙성이 없어 관련 정보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정보당국의 보고를 받았다"며 "조작된 또 다른 러시아 사기극"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사주로 자국민이 목숨을 잃었는데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제대로 대처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논란이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대선 당시 러시아가 개입해 트럼프 대통령을 지원했다는 '러시아 스캔들'에 이어 제2의 러시아 스캔들로 번질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옵니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대통령이 브리핑을 받았는지, 받지 않았다면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며 관련 정보당국에 즉각적인 브리핑을 요구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