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키워드] 스티븐 비건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돼 있고 북한의 대남 도발로 남북관계 역시 얼어붙은 상황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방한을 앞두고 있습니다.
오늘의 한반도 키워드, 입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는 사상 최초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고 두 달여 뒤인 2018년 8월, 비핵화 협상이 본격화하는 국면에서 대북특별대표로 임명됐습니다.
임명 당시 자동차 회사 포드의 국제 담당 부회장을 맡고 있었는데요.
앞서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최고운영책임자를 맡는 등 백악관과 의회를 두루 거치면서
국가안보 정책을 다뤘습니다.
지난해 말, 미 국무부 서열 2위인 부장관에 취임했지만 대북특별대표의 직함을 유지하면서 대북협상을 직접 챙길 만큼 비핵화 협상에 애착을 보였는데요.
"우리는 한반도에서 지난 70년 간의 전쟁과 적대의 종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북한과의 실무협의가 가급적 빠르게 시작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경매파 볼턴과 달리, 폼페이오 전 장관 비건 부장관 라인은 상대적으로 대화에 치중한 외교적 해법 모색에 치중해왔습니다.
비건 대표는 여러 차례 북측 인사를 만나며 비핵화 협상에서 실무회담을 주도해 왔고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는, 최선희 북한 외부성 부상과 스웨덴에서 만나 2박 3일 간 실무협상을 벌였습니다.
곧이어 평양을 방문해 김혁철 전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와 만나 의제를 협의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했지만 하노이 회담은 결렬되고 말았는데요.
"우리의 목표와 목적은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입니다. 우리는 북한 비핵화를 점진적으로 진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후 강경한 입장을 보인 비건 대표는 그러면서도 "북한으로부터 연락이 오면 언제든지 실무협상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면서 협상 재개에 강한 의욕을 보였습니다.
결국 지난해 10월, '하노이 결렬' 7개월 만에 스웨덴에서 실무협상이 재개됐지만 협상은 또 다시 결렬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매우 불쾌하게 생각합니다. 이번 협상이 아무런 결과물도 도출해내지 못하고 결렬된 것은 전적으로 미국이 구태의연한 입장과 태도를 버리지 못한 데 있습니다."
비건 대표는 이후에도 북한에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보내며 협상 진전에 대한 의지를 밝혔는데요.
북한이 비핵화 협상 시한을 못박고 도발 수위를 점점 높이던 지난 연말에는 한국을 방문해 북한에 회동을 공개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우린 여기 있고 어떻게 접촉할지 방법은 알 것입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북한의 카운터파트에게 직접적으로 말합니다. 이제 우리 일을 할 시간입니다. 이 모든 일을 끝냅시다."
하지만 북한은 끝내 대답하지 않았고, 비건 대표는 빈손으로 돌아가야만 했습니다.
북한이 대남 도발에 나섰다가 군사행동을 보류한 상황인 만큼, 비건 부장관의 이번 방한은 한반도 정세의 향배를 가늠할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비건 부장관은 앞서 지난 18일, 북한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직후 미국을 전격 방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나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되는 미 대선 전 3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낮게 전망하며 일단 선을 그었습니다.
"대선 전에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것 같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모두가 보듯이 전 세계에서 행사들이 취소되고 있습니다."
"미구과 북한이 양쪽이 원하는 방향으로 상당한 진전을 만들어낼 시간이 여전히 있다."
그러면서도 비건 부장관은 "미국과 북한이 양쪽이 원하는 방향으로 상당한 진전을 만들어낼 시간이 여전히 있다"고 강조하면서
외교의 문을 열어둘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미 행정부내 대표적인 '협상파'로 통하는 비건 부장관의 방한이 북미 비핵화 협상과 남북관계에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반도 키워드, 오늘은 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