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차 작업에 외국인 근로자 고용해야"
"택배시설 확충 위해 입지 규제 완화해야"
지난주 택배업계에 이어 정부도 주5일제 근무와 심야 배송 제한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택배 기사 과로방지 대책을 발표했는데요.
이에 대해 전경련이 입장을 내놨습니다.
외국인 고용을 늘리고, 그린벨트 부지도 활용하자며 대대적인 규제 완화를 주장했습니다.
계훈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전체 택배 물량은 27억9천만 개.
20여 년 전, 6천여 개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택배 물량의 성장은 가히 폭발적입니다.
특히 올해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택배 수요가 급격히 늘자, 기업들이 먼저 고용의 유연화를 화두로 던졌습니다.
현재 택배업은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가능한 31개 서비스업종에서 빠져있는데, 상하차 작업만이라도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겁니다.
[권혁민 /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전략팀 : 물류터미널 상하차 작업의 경우는 노동 강도나 작업 시간이 밤에 이뤄진다는 점 때문에 내국인이 기피하는 대표적인 업무에요. 그러다 보니 업계에서는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습니다.]
택배시설 확충을 위해 입지 규제도 풀자고 제안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택배 물량이 집중되지만 택배 분류시설 등이 들어설 입지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그린벨트 내 부지를 확보하거나, 기존 시설의 용적률 상한, 지하 택배 터미널 개발 등의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가장 민감한 부분인 택배 요금 인상안도 거론됐습니다.
1997년 박스당 4,732원이었던 택배 단가는 지난해 2,269원으로 반토막이 났는데, 택배 기사 처우 등을 위해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단 겁니다.
일단 노동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김세규 / 택배노조 교육선전 국장 : 상하차 부분에만 한정하겠다고 발표는 했지만 고객분들을 상대하는 배송업무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택배업 육성을 위한 셈법이 각기 다른 가운데, 이제 공은 사회적 논의기구로 넘겨졌습니다.
YTN 계훈희[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01116231447049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