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유엔 "미얀마 쿠데타 이후 최소 54명 사망" 外
미얀마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지난 달 1일 쿠데타 이후 군과 경찰의 총격에 의해 최소 54명이 숨지고 1천700명 이상이 구금됐습니다.
유럽연합 EU 회원국들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접종을 잇따라 승인하고 있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미얀마 시위대를 향한 군인과 경찰의 진압이 잔혹해질수록 더 많은 시민들을 거리로 나오게 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미얀마에서 지난 달 1일 발생한 쿠데타 이후 군인과 경찰에 의해 최소 54명이 숨졌습니다. 또 1천700명 이상이 구금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이 같이 밝히고, 미얀마 군부를 향해 시위대를 향한 살인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사망자 54명 가운데 최소 30명이 3일에, 18명은 지난 달 28일에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같은 수치는 유엔이 확인한 것으로, 실제로는 사망자가 더 많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부상자도 최소 수백 명이 발생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1천700명 이상이 구금됐으며, 최근에는 언론인도 30명 정도 체포됐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지난 3일 하루에만 최소 700명이 구금된 것으로 전해졌지만, 그는 시위가 쿠데타 이후 전국에서 일어나 실제로 억류된 사람은 더 많을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마얀마 정국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미얀마를 떠나는 외국인이 늘고 있습니다. 어제, 390명이 넘는 베트남인이 미얀마에서 귀국했습니다. 미얀마 현지에 500명 정도의 국민이 체류 중인 싱가포르의 경우 최대한 빨리 현지를 떠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얀마에서 시위가 격화하면서 현장을 취재하는 기자들도 체포되고 있습니다. AP통신 사진기자 테인 조가 체포되자 미 언론기관 내셔널프레스클럽은 석방을 촉구하고 백악관도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얀마 군정을 제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유엔이 미얀마 군부에 대해 전 세계적인 무기 수출금지 조치와 경제 제재를 부과해야 한다고 유엔의 고위 인권 조사위원이 밝혔습니다. 또 제기된 군부의 잔혹 행위 의혹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 기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한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그동안 한국과 미국, 전작권 전환 시기를 두고 입장차가 있었는데요.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섰지만, 큰 변화가 없을 것 같다는 전망이 나왔다면서요.
[기자]
미국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 지명자의 발언에서 이를 짐작할 수 있겠는데요. 콜린 칼 미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 지명자는 전시작전통제권과 관련해, 한미 두 나라가 합의한 '조건에 기초한' 전환을 강조하면서 "지름길로 갈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전시작전통제권은, 주한미군사령관이 가지고 있는 한반도 유사시 군의 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칼 지명자는 인준 청문회에서 '어떤 조건에서 전작권이 한국으로 전환돼야 하느냐'는 질문에,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계획에 기술된 쌍방간에 결정한 조건과 일치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전작권 전환 작업의 핵심인 미래연합군사령부의 완전운용능력 검증 후 전환이 가능하다는 기존 미 정부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관련해, 한미 두 나라는 오는 8일부터 18일까지 전반기 연합지휘소 훈련을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한 능력 검증을 이번 훈련에서 진행하자는 입장이었지만, 미측은 연합대비태세 점검 등에 주력하자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방위비분담협상에 나섭니다. 5일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는 도나 웰튼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와 9차 회의를 엽니다. 지난 달 5일 화상으로 열린 회의 이후 한 달 만에 열리는 겁니다. 정은보 대사는 "원칙적 측면에서 대부분의 쟁점 사항들이 해소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조속한 타결 의지를 밝혔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지난해 3월 2020년 분담금을 2019년 분담금에서 13% 정도 인상하는 방안에 잠정 합의하고도 트럼프 당시 대통령의 거부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교착상태이던 협상은 바이든 정부 출범 후 활기를 되찾아 타결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앵커]
이번에는, 코로나19 소식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미국 일부 주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 조치를 해제한 것을 두고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죠.
[기자]
미국 텍사스와 미시시피 주가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해제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에 대해 하나같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마이클 오스터홀름 미네소타대 감염병연구정책센터장은 "앞으로 2∼3주 뒤 유럽과 중동과 비슷한 상황이 미국 여러 곳에서 나타날 것"이라며 확진자가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도 백신 접종이 늘고 있는데도 미국에서 하루에 최소 5만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을 지적하면서 일부 주가 마스크 의무 착용 조치를 없앤 것에 "납득할 수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앵커]
어제 바이든 대통령도 일부 주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을 해제한 것을 두고 "큰 실수"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백신 관련 소식인데요. 유럽연합 EU 회원국들이, 고령층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잇따라 승인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어왔네요.
[기자]
독일과 스웨덴 보건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65세 이상에게 접종하는 것을 공식 승인했습니다. 스웨덴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고령층에게 매우 좋은 예방 효과를 제공한다는 새로운 연구가 있었다"며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앞서 벨기에 당국은 55세 이상에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헝가리도 60세 이상, 오스트리아도 65세 이상, 프랑스도 이 백신의 접종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