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경쟁에 낀 한국…국내 기업 대응 고심
[앵커]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미·중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상황에 따른 것으로 한편으론 기회일 수 있지만 자칫 국내 기업의 입지가 샌드위치 신세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은 현지시간 오는 12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반도체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회의에 삼성전자를 불렀습니다.
업계는 이 자리에서 대규모 투자 요구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 업계에 안정적으로 반도체를 공급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담은 관련 법안도 곧 발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지난 2월 반도체 칩을 손에 들고 나타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공급망을 재검토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반도체 수급을 '안보 이슈'로 인식하고 미국 중심의 반도체 질서 재편을 추진하고 있는 겁니다.
국가별 반도체 생산능력 점유율 추이를 보면 2000년 24%로 세계 2위였던 미국은 지난해 12%까지 떨어졌고, 대신 대만·한국·중국 등 3개국이 전 세계 유통량의 6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이 노골적으로 중국 견제에 나설 경우 국내 업계도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우리 반도체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지난 3일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반도체와 5G 분야의 협력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반도체 기업 입장에선 미·중 양국 모두로부터 협력을 요구받고 있는 셈입니다.
"중국이라는 거대 반도체 소비 시장을 놓칠 수 없고, 미국의 요구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기업 혼자서 감당할 순 없다고…"
이에 정부 차원의 적절한 외교적 중재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