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미국과 중국이 인도를 서로 돕겠다고 나섰습니다.
미중 백신 외교전의 배경이 인도가 된 이유를 권갑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이 혈전 부작용 우려에도 얀센 백신 접종을 재개했습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까지 포함하면 이미 2억 3천만 회분이 접종됐습니다.
아직 미국내 승인이 나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다른 나라에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모두 6천만 도스로 대상 국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인도와 일부 중남미 국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네드 프라이스 / 미 국무부 대변인]
"이것은 (백신 제공은) 백신을 통한 정치적 지원이 아닙니다. 이것은 미국의 인도적 지원입니다."
당초 미국은 '제 코가 석자'라며 백신 지원에 부정적이었지만,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지난 21일)]
"논의 중입니다. 아직 해외로 백신을 보낼 여력은 부족합니다."
백신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국제사회 압박이 거세지자 돌연 입장을 바꿨습니다.
[수석·보좌관회의(어제)]
"국제공조도 모두 뒷전이 되어 국경 봉쇄와 백신 수급통제, 사재기 등으로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루 앞서 중국도 샤오미 등 기업들을 앞세워 인도에 의료용 산소 발생기와 마스크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왕원빈 / 중국 외교부 대변인(어제)]
"우리(중국)는 이미 인도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처하도록 도울 준비가 됐다고 밝혔고, 양국은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
미중 양국이 인도를 고리로 '백신 외교'에 나선 건 패권 경쟁 속 우호 세력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현재까지 중국은 중동의 시리아부터 아프리카 짐바브웨, 남미 브라질까지 자국산 백신을 공급했습니다.
반면 미국은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인접 국가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보냈고, 비공식 안보협의체, 쿼드 국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백신이 곧 안보'
각국의 총성 없는 백신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권갑구입니다.
[email protected] 영상편집: 이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