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시열, 윤선거를 사문난적으로 몰아
1637년 1월 조선 인조는 삼전도(서울 송파구)에서 청 태종 홍타이지에게 삼배 구고두(三拜 九叩頭)를 했다. 삼배 구고두란 청 황제에게 세번 절하고 아홉번 조아리는 것을 말한다.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은 조선왕조 500년 역사에 가장 치욕스런 일로 남아있다.
인조에 이어 왕위에 오른 효종은 북벌정책을 들고 나왔다. 힘을 키워 청나라에 복수하겠다는 생각이었다. 학자들에 따르면 당시 조선의 대학자이던 송시열(1607~1689)도 북벌을 적극적으로 찬성했다. 그는 북벌론에 찬성하면서도 양반과 지주의 기득권을 지키는 방안을 모색했다고 한다.
이때 윤휴(1617~1680)는 북벌에 찬성하면서도 제도 개혁을 통해 양반제와 지주제 모순을 제거해야만 북벌이 가능하다고 맞섰다. 송시열은 이런 윤휴를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아붙였다. 사문난적이란 교리에 어긋나는 언행으로 유교의 질서와 학문을 어지럽히는 사람을 말한다. 윤휴의 오랜 친구였던 윤선거(1610~1669)는 송시열에게 “제도 개혁론을 수용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친구 편을 들었다. (김용흠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
은진 송씨와 파평 윤씨 문중 갈등 '회니시비'
윤선거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윤증(1629~1714)이 송시열에게 묘비문을 부탁했다. 송시열은 '쓸 게 없어서 다른 사람 글 베껴 쓰노라'라고 했다. 서운한 윤선거 아들이 수정해 달라 거듭 청했으나 송시열은 거부했다.
이날 일을 계기로 은진 송씨와 파평 윤씨 문중은 대...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9476?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