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경북 성주에 있는 주한미군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 기지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환경영향평가는 내년 초 완료로 목표를 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반대 단체와의 마찰도 우려됩니다.
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재 임시배치 상태인 경북 성주의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기지.
제대로 된 막사조차 없이 기지가 5년 넘게 방치돼 온 만큼, 정부는 최대한 빨리 정상화를 진행한다는 계획입니다.
'정상화'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환경영향평가 완료, 둘째, 상시적인 지상 접근권 확보, 셋째, 우리 정부 소유의 사드 부지를 미군 측에 공여하는 것입니다.
정부가 가장 먼저 착수한 건 상시적인 지상 접근권 확보.
반대 단체들의 시위로 지금까지 식량과 식수 등은 최대 주 5일까지 지상으로 운송했지만, 사드 가동에 필요한 유류 등의 핵심 물자는 주로 헬기 등으로 반입해 왔습니다.
하지만 헬기 수송에 따른 사고 위험 등이 있는 만큼 경찰을 동원해 시위대를 내보내고, 장애 시설물을 제거해 시간과 방식에 제한 없이 출입하겠다는 겁니다.
지난 4일 새벽, 휴일로는 처음으로 지상으로 장비를 반입하면서 조치가 본격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여기에 주민 측의 묵묵부답으로 좀처럼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던 환경영향평가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달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열고, 평가 항목과 범위 등을 결정했는데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초까지 보고서 초안 작성을 완료하고, 내년 3월쯤엔 일반환경영향평가 절차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입니다.
[문홍식 / 국방부 부대변인 : 11개 항목에 걸쳐서 저희가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할 예정이고 거기에 따라서 초안을 작성하고 그 초안 내용에 대해서 주민들의 의견을 공감할 수 있도록하고 이후에는 주민의 공청회, 주민 설명회 등을 병행해 나가면서 환경영향 평가를 절차에 맞게 진행할 예정입니다.]
미군에 기지 부지를 공여하는 절차 역시, 이르면 이번 달 중에 밟는다는 계획입니다.
이른바 '정상화'를 빠르게 진행하는 만큼, 반대 단체와의 마찰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강현욱 / 사드철회 소성리종합상황실 대변인(지난 3일) : 윤석열 정부가 아무리 기지 정상화를 선언해도 저희가 한 명이라도 있는 한 이곳에 배치된 ... (중략)
YTN 한연희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20911055939882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