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입항했던 미국 해군 항공모함강습단이 사흘 만인 26일 오전 동해로 이동했다. 한·미 해군이 이날부터 나흘간 동해 공해상에서 하는 대규모 연합훈련에 참가하기 위해서다. 전날 북한이 평안북도 태천군 일대에서 동해 쪽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1발을 쏜 상황에서 훈련이 시작됐다. 이번 훈련에는 한·미 해군 함정 20척 이상이 참여한다.
미 항모강습단을 이끄는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CVN 76)은 이날 오전 10시쯤 부산작전기지를 떠났다. 타이콘데로가급 이지스 순양함 챈슬러스빌함(CG 62),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배리함(DDG 52)과 벤폴드함(DDG 65) 등 항모 호위 함정들도 이동 중이다. 미 핵항모가 참가해 한국작전구역(KTO)에서 한·미가 연합훈련을 하기는 2017년 11월 이후 4년10개월 만이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북한이 6차 핵실험(2017년 9월)을 강행하자 이례적으로 항모 3척을 동원해 훈련했다.
국내에 입항하진 않았지만 로스앤젤레스(LA)급 공격형 핵추진 잠수함인 애나폴리스함(SSN-760)도 훈련에 나선다. 애나폴리스함은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쏠 수 있는 12문의 수직발사관(VLS)을 갖추고 있다. 훈련 장소인 동해 공해상에선 북한 전역이 사정권이다. 한국 측에선 이지스 구축함 서애류성룡함(7600t급), KDX-Ⅱ급 구축함 문무대왕함(4400t급) 등이 훈련에 참가한다.
이번 훈련에는 레이건함 함재기인 F/A-18 전투기, E-2D 조기경보기, EA-18G 전자전기 등은 물론 공군의 F-15K·KF-16 전투기, 미 육군의 아파치(AH-64E) 공격 헬기 등도 참가한다. 특히 아파치 헬기는 해상으로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4693?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