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주에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서는데요.
친환경 에너지인데도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뽑아내고 짓기 때문이죠.
근본적으로는 왜 짓냐는 의문도 나옵니다.
지금도 태양광 전력이 남아돌거든요.
정다은 기자의 현장카메라 시작합니다.
[기자]
저는 지금제주 서귀포시 수망리에 나와 있습니다.
이곳에선 제주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설 계획인데요.
건립 필요성이나 환경에 미칠 영향 때문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어떤 사정이 있는지 현장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서귀포 중산간에 들어서는 수망리 태양광 발전단지.
축구장 110개, 마라도의 2.7배 규모 부지에 지어지는데, 나무 3만 8천여 그루가 있는 수목 지대입니다.
환경단체는 나무와 숲을 없애서 친환경 발전을 한다는 건 명분도 실리도 없다고 비판합니다.
[김정도 / 제주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
"(태양광이) 탄소 중립에 중요한 발전원이긴 하나 또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흡수원으로서의 숲의 기능과 녹지의 기능일텐데….“
제주도청이 발전시설 예정지의 나무를 옮겨 심으라는 조건을 달아 허가했지만, 이 지역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의 터전을
해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김정도 / 제주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
"나무만 있는 게 아니라 나무에 같이 공생하고 있는 생물들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생물들에게 결과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밖에 없는….“
지금도 신재생 전력이 남아도는 제주도 상황에 필요성에 대한 의문도 나옵니다.
과잉 생산된 태양광 발전 전력이 전력망에 과부하를 일으키는 걸 막으려고 가동중단을 내린 횟수만 올해 상반기에만 22차례나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도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의 20%에 육박하는 100메가와트급 설비가 추가될거라는 소식에 기존 태양광 사업자들도 반발합니다.
이미 수시로 가동중단이 이뤄지고 있어 피해를 본다는 겁니다.
[홍상기 / 제주 태양광 사업자]
"유선상의 통보도 하나 없이 제 개인 사유 재산을 함부로. 전력 생산되는 거를 차단시켜서 경제적인 피해가 상당하죠."
[강용권 / 제주 태양광 사업자]
"한쪽에서 계속 허가를 주고, 한쪽에서는 불을 끄라 하고 이러니까 이게 앞뒤가 안 맞는다."
제주도는 남는 전력을 비축하거나 육지로 보내는 방법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합니다.
[제주도청 관계자]
"해저 케이블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게 완공되면 (잉여) 전력을 역송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요. 남는 전기를 육지로 보내는 거죠."
[전영환 / 홍익대 전기공학부 교수]
"정책과 기술을 잘 조합해서 가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는건데, 그런 정확한 논의를 하는 데가 없죠.”
발전설비 증설에만 골몰해 온 신재생 에너지 공급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PD : 윤순용 장동하
정다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