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이태원 참사' 추모 발길 이어져…재발 막으려면?
■ 방송 :
■ 진행 : 정영빈 앵커
■ 출연 : 정상만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원장,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참혹하고 급박했던 이태원 참사 현장 상황을 돌아보고 사고 수습과 대책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정상만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원장,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두 분 나오셨습니다.
지난 토요일 밤, 이태원에서 비극적인 참사가 일어났습니다. 핼러윈을 앞두고 축제를 즐기러 간 이들이 목숨을 잃었고 그 원인은 '압사'였습니다.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난 믿기지 않는 비극입니다, 참사 원인부터 짚어주시죠.
이태원이란 지역, 코로나 이전에도 늘 사람이 붐비는 곳이었죠. 특히 핼러윈 무렵에는 늘 인파가 몰리는데, 올해 이런 사고가 발생한 원인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현장에 있었던 목격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굉장히 짧은 시간에 벌어진 사고였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이렇게 빠르게 사망자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신고를 받고 구급대가 즉각 출동을 했는데, 차로를 막은 인파와 차량 때문에 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안타까운 대목이 아닐 수 없는데요
특히 이번 이태원 사고는 거리라는 특성, 거기다 음악 소리나 소음 때문에 위험 상황이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전달되지 않은 게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피해자 성별을 보면 여성이 더 많았는데, 무슨 이유 때문이라고 봐야 할까요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 같은 압사 사고가 계속 반복되는 이유는 뭐라고 봐야겠습니까?
사고 전후에 긴박했던 현장 상황이 담긴 영상들을 보면 소방과 의료진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들이 애쓰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고 현장을 보면서 소방이나 의료 인력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심폐소생술을 제대로 익혀두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경찰은 당시 목격자 진술과 인근 CCTV를 분석해서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좁은 골목에서 밀고 밀리다 보니 인파가 넘어지기 시작했고, 워낙 많은 사람들이 뒤엉켰기 때문에, 세부적인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도 간단하지 않아 보입니다?
좁은 골목에서 인파가 뒤엉킨 속에 일각에서는 밀어라는 외침이 있었다는 목격담도 나왔는데요, 실제 고의로 밀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면 형사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있던데요?
300명이 넘는 대규모 사상자가 나온 만큼 이태원 압사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일도 시급해 보입니다. 이런 비극적 참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으려면 어떤 대책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십니까?
주최 기관이 있는 지역 축제 등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통해 안전관리 매뉴얼 등이 적용되는데요. 이번 행사는 주최가 없었기 때문에 매뉴얼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제도적 허점이 드러났다고밖에 볼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이달 초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렸던 '불꽃축제'와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불꽃축제에도 100만 명이 넘는 인원이 운집했지만, 인명사고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당시엔 종합안전본부가 설치되고 운영됐죠?
재난 시스템 전반을 점검하고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재난 관리 시스템은 예방이나 대비보다는 대응과 복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앞으로는 예방과 대비에 초점을 맞추도록 재난 관리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이렇게 수만 명이 운집하는 행사가 자주 열리죠. 우리와 마찬가지로 핼러윈을 거리에 즐기는 일본의 경우 어떻게 행사를 관리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참사와 관련된 자극적인 게시물이 SNS상에 올라오면서 피해자와 가족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겪게 될 트라우마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사고 당시 참혹한 현장의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은 분들도 많을 겁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질병으로 이어지는 것 아닌지 염려스러운데요. 이런 분들에 대한 적극적 치료도 필요해 보입니다?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반복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은 국민 모두 마찬가지일 겁니다. 하지만 의도치 않게 인파가 몰린 장소에서 이런 상황을 겪게 된다면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지 알려주시겠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