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위중증…중증병상 가동률 넉 달 만에 40%대
[앵커]
코로나 위중증 환자 규모가 늘어나면서 이들을 감당할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환자가 얼마나 더 늘지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우려도 큰데요.
방역당국은 일단 유행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병원에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 600명을 넘는 상황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위중증 환자가 계속 늘다보니 새해 들어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국 평균 40%를 넘었습니다.
이 수치가 40%를 넘은 것은 지난해 8월 말 42.4%를 기록한 뒤 넉 달여 만인데, 지역별로는 서울이 56%, 강원 59%, 경남 69.2% 등 전국 평균을 훌쩍 넘은 곳도 여럿입니다.
현재 확보된 코로나 중환자 치료병상은 1,600여개.
하지만 실제 가용병상은 이보다 적을 수 밖에 없는 만큼, 중환자가 더 늘면 병상부족 사태가 빨리 찾아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인력도 그렇고 실제 운영 가능한 병상이 지금 1,600개 정도라고 하는데 한 70% 정도 보시면 맞을 거예요."
방역당국은 병상가동률 추이를 지켜보면서, 예비병상 마련 등에 나설 방침입니다.
"중증환자 치료 역량이 높은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등에 중환자 치료병상을 추가로 지정해서 운영할 예정…."
의료계 일선에서 정부가 중환자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노인들이 있는 시설에서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인력 늘리고 시설 개선하고, 환기시설 등 개선하고 이런 것을 해야죠."
아직은 30% 정도인 고령층 개량백신 접종률 제고와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관리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
[email protected])
#위중증 #병상_가동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