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워라밸 때문에'…외면받는 필수의료 대책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이광빈 기자]
올해 이른바 'SKY' 정시 합격자 가운데 30%는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의약학 계열로 빠져 나간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오직 의대를 목표로 한 이른바 'N수생'도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초등학생 대상 의대 입시반까지 등장했다는데요.
의대 열풍은 이렇게 갈수록 강해지는데, 필수 의료분야와 지방에선 전공의가 부족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먼저 박상률 기자가 오로지 의대만 바라보는 쓸쓸한 실태를 살펴봤습니다.
['SKY보다 의대'…초등학생부터 의대 입시반 준비 / 박상률 기자]
'SKY를 포기한다'
2023학년도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정시 합격자 가운데 3분의 1은 등록을 포기했습니다.
이른바 스카이에 합격했지만 등록하지 않은 사람이 1,343명,,특히 연세대와 고려대 자연계에선 무려 43%가 등록을 포기했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의·치대로 빠져나갔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서울대가, 연고대 이공계 전체 학생 중 절반 정도가 등록을 포기하고 있는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거죠. 그럼 상당수 서연고 합격생들 중에서 이공계 등록을 포기한 학생들은 의대라든지 약대라든지, 치대·수의대쪽으로…"
기업이 후원해 취업이 보장된 반도체 관련 학과조차 정원 채우기가 힘들었습니다.
올해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의 반도체학과 등록 포기율은 155%,,정시 모집인원은 47명이었는데 다른 대학 등록을 이유로 떠난 학생이 73명이었습니다.
최초 합격자 전원은 물론, 추가 합격자 중에서도 이탈자가 대거 나온 겁니다.
대학에 입학해도 의대 진학을 준비하는 반수생들이 넘쳐납니다.
"요즘에 대치동 분위기나 학원가의 분위기는 자연계 상위권인데 의대를 노리지 않으면 '어, 쟤 왜 저러지?' 하는 그런 분위기, 자연계 최상위권 애들은 의대를 가는 것이 거의 당연시되는 분위기가 형성돼있습니다."
'미래가 불투명한 월급쟁이에 비하면 의사만 한 직업이 없다' 요즘 늦깍이 직장인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수능을 '메디컬 고시'라고 부르기도 한다는데요. 의학 계열에 입학한 학생 가운데 26세 이상이 최근 4배 이상 늘었다고 합니다."
조직 생활에 적응을 못해서일까, 고소득이 간절해서일까.
개인의 선택을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바람직한 현상은 분명 아닙니다.
"직업에 대한 불안정성이 커진 것 같아요. 직업 안정성이란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이런 것들은 우리 사회의 다양성이라든가 직업의 다양성, 이런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죠."
일부 학원에선 초등학생 대상 의대 입시반까지 등장했습니다.
꿈과 직업에 대한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은 아이들이 이런 과정을 거쳐 과연 사회가 필요한 의사로 커나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
[이광빈 기자]
의대에 인재가 몰리고 의사협회는 지금도 의사가 많다는 주장을 펴는데 정작 소아과, 산부인과, 흉부외과처럼 생명과 직결된 필수 핵심 진료과엔 의사가 태부족입니다.
지방사정은 더 심각한데요. 아무리 고액 연봉을 불러도 서울에서 먼 지역일수록 지원자를 구하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경쟁률 410:1' 의대 열풍…필수의료는 구인난 / 차승은 기자]
2023학년도 대학입시 의대 평균 경쟁률은 410.5대 1.
수험생들의 의학계열 선호는 이렇게 심화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선 제때 치료를 못받아 숨지는 환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2019년엔 부산에서 5살 남자 어린이가, 지난해 7월엔 심지어 서울의 대형 병원 간호사가 수술할 의사가 없어 목숨을 잃었습니다.
전공의들이 피부과, 성형외과처럼 돈 많이 버는 특정 과목으로 쏠리며 흉부외과, 소아과처럼 필수의료과엔 의사 부족 사태가 벌어지는 겁니다.
재작년 필수의료 과목 대부분의 전공의 지원율은 100%에 닿지 못했습니다.
특히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는 각각 30%, 50%대까지 떨어졌는데요.
반면, 인기 과목인 재활의학과, 피부과, 성형외과는 200%를 넘거나 그에 가까웠습니다.
현장에선 고소득과 삶의 여유를 원하는 경향이 커진 탓으로 해석합니다.
"힘들고 어려운 일들이 많은데 그런 것들은 더더구나 피하려고 하는 경향들이 있는데…젊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주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지방으로 내려가면 더 심각합니다.
지방 의대생 43%가 수도권에 취업할 뿐더러, 고액연봉을 제시해도 지원자가 없습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연봉을 4억원으로 1억원이나 올렸지만 지원자는 겨우 3명뿐이었던 속초의료원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중소도시는 종합병원이 많지 않아 공공의료원 의존도가 높은데 이마저 무너지면 의료서비스에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이미 전국 공공의료원 10곳 중 7곳 이상은 전문의 정원을 채우지 못한 실정입니다.
정부는 필수의료 위기 해결책으로 17년째 동결된 의대 정원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정원 증가는 오히려 인기 과목 쏠림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정부는 기피 과목 수가 인상안도 함께 발표했지만, 보다 대대적인 수가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손이 많이 가는 곳에 상대적으로 저보상되고 있는 그런 형태가 나타나고 있고…(의료 행위를) 균형 있게 보장할 수 있는 그런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09년 흉부외과가 수가를 2배나 올려도 병원이 인력 충원을 하지 않아 여전히 기피 과목으로 남은 만큼, 병원 인력 기준 조정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기피 과목 수가 인상이 소득 증대, 인력 충원, 업무 부담 완화로 이어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