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이어온 비대면 진료…다음달이면 끝?
[앵커]
IT기술 발달로 집에서 의사를 만날 수 있는 비대면 진료가 성큼 다가온 줄 알았죠.
하지만 다음 달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독감 수준으로 내려가면 3년간 진행된 비대면 진료는 중단됩니다.
지금도 시범운영은 하고 있지만, 격오지 등 제한된 지역에서만 가능한데요.
배삼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휴대전화 앱에서 진료과목을 선택하고, 질환을 누르자 연결 가능한 의료진이 나타납니다.
음성통화나 화상으로 진료받고, 전자처방전으로 약 배달도 받을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를 통해서 좀더 빠르게 진료를 받고 적절한 약물을 받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환자가 접근성이 용이하다."
코로나19 사태로 긴급 도입된 비대면 진료 건수는 3년간 3,600여만 건.
전국 2만5,000여 개 병의원이 참여해 1,300만명이 이용했습니다.
고령층과 만성·경증질환 중심으로 이용이 많았는데, 다음 달 초 세계보건기구가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코로나19의 국내 감염병 등급이 내려가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감염병 기준을 낮추면 비대면 진료를 유지할 법적 근거가 사라지게 됩니다.
3년간 진행한 비대면 진료가 중단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비대면 진료를 운영해온 30여개 플랫폼 업체는 발등의 불입니다.
중단 시 그간의 투자와 노하우가 휴지 조각이 될 수밖에 없어, 비대면 진료 유지를 위한 탄원서 제출과 서명운동에 나섰습니다.
"우리나라 의료기술은 세계 최고수준입니다. IT기술과 접목된다면 보다 수준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OECD 국가중 유일하게 우리만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정부가 진행 중인 시범사업은 격오지나 노인, 장애인 등이 대상이 제한적이라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안정성과 유효성 검증을 내세운 의사단체들의 강력한 반대를 넘기는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
[email protected])
#비대면진료 #코로나19 #약 배달 #초진·재진 #플랫폼업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