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한ㆍ일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의 역할과 관련 “오염수 처분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회가 확보된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시찰단 파견과 관련 “기존에 참여해왔던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에 이어 독자적으로 오염수 처리의 안전성을 중층적으로 검토·평가할 기회를 확보했다”며 “오염수 처분의 안전성을 중층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는 기회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후쿠시마에 파견할 시찰단이 자체적으로 오염수 방류의 적정성과 관련한 자체적인 검증과 평가의 역할을 하게 될 거란 의미다.
외교부는 ‘시찰단’이라는 명칭과 관련해서도 시찰단 파견을 통해 얻게 될 정보에 더 의미를 둬야 하고, 용어에 너무 구애 받을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시찰(視察)의 사전적 의미는 “두루 돌아다니며 실지(實地)의 사정을 살핀다”이다.
외교부가 시찰단이 ‘시찰’을 넘어 ‘평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배경은 한국의 시찰단을 파견하더라도 오염수의 안전성을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데 한계가 있을 거란 우려를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반기에 나올 IAEA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매우 투명하게 정보를 발신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1167?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