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 기자, 아자 경제산업부 박지혜 기자 나왔습니다.
Q1. 박 기자, 정부가 압박해서 라면 값 내린 게 맞는 거에요?
네 맞습니다.
열흘간의 '라면 논쟁',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18일 "기업이 밀 가격 내린 부분에 맞춰 라면 값을 내렸으면 좋겠다"며 대놓고 압박을 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처음엔 업체들이 "막상 국내 제분업체로부터 사오는 밀가루 가격은 안 내렸다"며 저항했는데요.
결국 백기투항했습니다.
정부가 그제 제분업계를 소집해 간담회를 열면서 압박 수위를 높였고요.
원래 오늘은 라면업계 간담회를 앞두고 있었는데 어제 농심과 삼양라면이 가격을 내리겠다고 하면서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Q2. 그런데 어떻게 라면이 타깃이 된거에요?
라면은 한 끼 가볍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서민 음식입니다.
그만큼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들의 체감도와 저항감이 높다는 겁니다.
지난달 국제 밀 가격은 1년 전보다 절반 가까이 떨어졌는데요.
농심 신라면 가격은 1년 전보다 11% 오른 상태였습니다.
원료값은 떨어졌는데 라면값은 내리지 않으니 농심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6% 급증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오뚜기도 영업이익이 11% 늘었는데요.
그러니까 정부가 제동을 건 겁니다.
Q3. 결국 가격을 내리긴 했지만 억울한 마음도 있을 것 같아요.
라면업계는 전분과 같은 다른 원재료 가격은 여전히 높고 인건비와 포장비도 올랐다는 주장이고요,
제분업계도 밀 가격이 작년보다는 떨어졌지만, 코로나 이전보다는 아직 높다는 입장입니다.
Q4. 물가 잡기에 정부가 직접 나선 상황인데, 과거에도 정부가 압박해서 가격을 내린 적이 있나요?
현재 상황과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년이 거의 판박이입니다.
당시에도 고물가로 서민경제 시름이 깊었는데요.
라면 등 실생활 밀접 품목 52가지를 추려 'MB물가지수'를 만들고 집중 관리했습니다.
그리고 라면과 과자업체들에 대해 담합조사를 하겠다고 엄포를 놨는데요.
그때부터 라면, 제과업체가 줄줄이 가격을 낮추면서 상황이 일단락 됐습니다.
Q5. 그럼 그 때 MB물가지수가 실제로 소비자물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나요?
안타깝게도 반대였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가 12% 오른 3년 동안 MB물가지수는 20% 넘게 올랐습니다.
그 이유는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우리가 자주 사먹는 가공식품들의 비중이 생각보다 낮아섭니다.
품목들의 가중치 전체가 1000인데요,
라면은 비중이 2.7, 식당에서 먹는 것까지 다 합쳐봐야 3.4밖에 안 됩니다.
돼지고기나 쇠고기, 우유보다도 낮습니다.
즉 정부가 직접 특정 품목 가격을 낮춰도 물가 잡기로 이어지긴 힘들 수 있습니다.
Q6. 오늘 움직임을 보면 라면에서 시작이 됐지만, 과자와 빵까지 가격이 줄줄 내렸습니다. 그럼 정부의 다음 타깃은 어딘가요?
일단 밀가루를 많이 쓰는 피자나 치킨 같은 외식메뉴들이 떠오르긴 하는데요.
다만 정부 관계자에게 직접 확인해본 결과 "외식업종은 업종별 상황에 따라 다른 데다 인건비 등 영향이 있어 건드리기 어렵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최근 원자재 시세를 확인해봤더니요.
국제 거래소에서 매매가 이뤄지는 우유와 치즈, 아라비카 커피, 식품을 튀길 때 쓰는 캐놀라와 대두유 등 꽤 많은 품목이 1년 전보다 가격이 내린 상태였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콩과 옥수수 등의 가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다만 이들 품목은 사료에 더 많이 쓰이는 만큼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으로 연동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박지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