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전통시장·축제장 '바가지 요금' 눈살…'관광 한국' 무색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자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축제와 행사들이 열리고 있는데요.
전통시장과 축제 현장, 관광지에서 바가지요금이 기승을 부리면서 외지 손님과 외국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습니다.
자정노력과 함께 자치단체와 정부까지 바가지요금 근절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자세한 소식,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최근 화제가 된 인천 소래포구 논란부터 짚어보겠습니다. 소래포구의 경우 지난 5월에 이미 '꽃게 바꿔치기'로 피해를 봤다는 소비자가 등장해 비판이 쏟아진 바 있는데요. 최근 비슷한 후기가 또 올라오면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어요?
그런데 이번 논란에 대한 소래포구 상인들의 주장도 논란에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단순히 꽃게 다리가 떨어졌다는 사실만으로는 상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는데요. 문제는 떨어진 꽃게 다리가 아니라, 상품을 바꿔치기한 행위가 아닐까 싶은데요?
결국 이번 논란이 커진 건, 이미 한 차례 신뢰가 떨어진 상황에서 비슷한 후기가 또 올라왔기 때문인데요. 최근엔 강릉 단오제에서도 바가지 논란이 있었거든요?
바가지 논란이 벌어진 건 외국인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 서울 명동도 마찬가집니다. 특히 노점에서 판매하는 음식들이 굉장히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어느 수준이길래 논란이 되고 있는 건가요?
특히 본격 피서철이 시작됐는데요. 요즘은 워터파크에 가기도 겁이 난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워터파크를 찾은 4인 가족의 하루 경비를 따져봤더니 총 29만 원에 달했다는 후기도 있을 정도예요?
하지만 이런 바가지 상술은 엔데믹 후 막 활기를 찾기 시작한 한국 관광 산업에도 치명적인 악재가 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바가지요금이 무엇인지, 그 개념부터가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성수기 때 가격이 올라간다라고 하는 걸 전부 다 바가지로 생각하면 개념이 너무 넓어진다는 건데요?
결국 지방자치단체 등의 주최 측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은데요. 피서철을 앞두고 전국 곳곳에서 바가지 논란이 확산하자, 지자체들도 여러 단속을 나섰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