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기자]지하차도 침수 예견된 인재?…왜 못 막았나

채널A News 2023-07-17

Views 4



[앵커]
질문 1. 아는기자 사회2부 서상희 기자 나왔습니다. 서 기자, 이번 참사는 미호강의 제방 붕괴로 엄청난 양의 물이 지하차도에 들어차면서 발생했죠. 도대체 이 임시 제방이 어디에 있는 건가요?

임시 제방은 사고 지점인 지하차도와 불과 300~400m 떨어진 곳에 있었습니다.

하늘에서 촬영된 사진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화면에서 바로 왼쪽이 지하차도 사고 현장. 오른쪽은 미호강입니다.

미호강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미호천교 아래 임시 제방이 이번에 유실 된 겁니다.

강 옆에 바짝 붙은 임시 제방이 유실되다 보니, 한꺼 번에 6만 톤의 물이 지하차도로 밀려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질문 2. 서 기자가 조금 전에 말한 것처럼 '임시 제방'이라는 건데. 그렇다면 원래 제방도 있었다는 거죠? 왜 허문 건가요?

공사 때문입니다.

오늘 저희 취재기자가 현장에 다녀왔는데요.

바로 사진 보시죠.

오른쪽 풀이 무성하게 난 곳.

이게 원래 기존 제방입니다.

그런데 왼쪽 자세히 보면 파란색 방수포가 덮여있는데요.

방수포가 덮인 곳이 바로 임시제방입니다.

기존 제방이 공사구간에 해당 돼 지난 2021년 11월 철거가 됐다는데요.

왜 하필 이 자리냐, 행복청 해명 들어봤습니다.

다리를 건설하려면 교각 즉 다리 기둥이 필요한데, 교각을 세우기 위해 기존 제방을 철거했다는 겁니다.

질문3. 그러니까, 다리 기둥을 만들려고 기존 제방을 허물었다는 거고. 비가 오니까 미호강이 넘칠까, 임시 제방을 쌓았다는 거군요?

네 매년 우기마다 임시 제방을 만들었다는 겁니다.

올해는 언제 만들었냐 물었더니, 만들기 시작한 건 6월 29일.

제방을 다 쌓은건 7월 7일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지적하는 건 임시 제방이 제대로 지어졌는지, 튼튼하게 지어졌냐, 이 부분일 겁니다.

단면도로 보시죠.

기존 제방의 높이는 해발 고도 기준으로 31.3m.

임시 제방의 높이는 29.74m로 임시로 쌓은 게 더 낮았습니다.

질문4. 제방을 지적하신 주민들도 채널A에 제보를 주셨어요. 폭우가 내리며 갑작스럽게 쌓은 이 제방이 불안했다고요.

맞습니다.

어제 저희가 제보 받은 사진을 다시 보실까요.

사고 발생 약 1시간 전 오전 7시 30분 쯤에는 포크레인 한 대가 제방 보강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로부터 15분 뒤인 오전 8시, 그러니까 사고 발생 40분 전에는 이미 방수포로 덮어놓은 임시 제방 일부분이 터지며 물이 쏟아지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행복청은 이미 제방 공사는 7일에 끝났고 사고 당일 보강 작업을 한 거다 밝혔는데요. 

오늘 저희 취재진들이 통화한 전문가들 이야기들 이야기는 좀 달랐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박창근 /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법정 홍수기가 우리나라는 6월 21일부터 9월 20일입니다. 이 때는 제방에 손을 안 대는 게 우리 기본 원칙이에요. 그 기간에 제방에 손을 대겠다 하면 허가를 내 주면 안 됩니다."

저희에게 제보를 주신 또 다른 마을 관계자는 사고 당일, 저녁부터 새벽까지 무너진 임시 제방에 공사 차량이 다녀 갔다고도 증언하셨습니다.

[김용순 / 신고자]
"덤프차 한 30대가 왔다갔다 하고 포크레인이 한 20대 왔다갔다 하면서 고가도로에 있는 흙을 파서 갖다 메꾸는 거예요."

질문5. 정확한 원인은 수사나 감찰 결과를 지켜봐야지만, 사고 발생 전부터 이미 112에는 지하차도 통제를 요청하는 신고 전화가 들어오고 있었다고요? 그런데 통제도 없었어요?

네 맞습니다.

사고 발생 시간 8시 40분 보다 1~2시간 전인 오전 7시 2분에는 "긴급대피"해야 한다는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오전 7시 58분에는 "궁평 지하차도 긴급통제"를 요청하는 112 신고가 있었다는 사실도 오늘 새롭게 드러났죠.

사고 바로 10분 전에는 사고가 난 지하차도에 이미 물이 차오르고, 차량이 힘겹게 빠져나오는 장면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자체, 행복청에 저희가 취재를 해보면 "이렇게 비가 많이 올 줄 몰랐다" 대답합니다.

앞으로 수사 과정에서 사고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밝혀져야겠지만 침수 사고 징후들에 대해 조금만 더 기울였다면, 안전 사고에 대비했다면 상황은 분명 달랐을 겁니다.

아는기자 서상희기자였습니다.



서상희 기자 [email protected]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