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Q.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정치부 안보겸 기자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권 수뇌부가 만났어요?
네. 여당 주류 측 인사와 대통령실 인사가 오늘 한동훈 비대위원장과 만나 사퇴를 논의했다고 하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사퇴 논의라기 보다 사퇴하라고 주류 측이 한 위원장을 압박한 겁니다.
Q. 취임한 지 한달도 채 되지 않은 비대위원장의 사퇴 논의라 충격적인데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거예요?
불을 붙인 건 바로 공천이었습니다.
제가 들은 사퇴가 불가피하다고 하는 대통령실과 주류 쪽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세 가지 장면이 결정적이었습니다.
한동훈 위원장의 이 발언이 시작이었습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지난 11일)]
"공천은 공관위원장과 제가 직접 챙길 겁니다. 지금 당을 이끌고 있는 것은 접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 이철규 의원이 공천관리위원으로 들어가면서 윤심 논란이 일자, 한 위원장이 잠재우려고 한 말인데요.
하지만 이때부터 당 주류에서는 "당 시스템 대로 이뤄지는 공천을 왜 비대위원장이 챙기냐" "윤심은 안 되고 한심은 된다는 거냐" 의구심을 가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두 번째, 3선 이상 중진들에게 큰 페널티를 주는 공천룰이 발표됐죠.
중진 의원들 입장에선 "힘들게 당 도운 중진들 다 쳐내겠다는 거냐"는 불만이 커졌고요.
세 번째, 한 위원장이 김경율 비대위원의 손을 들어준, 이 장면이 결정적이었다는 거죠.
비대위원장이 공천 하는 거냐, 본인과 친한 비대위원 공천주는 거냐는 여론이 커졌다는 겁니다.
Q. 그런데 사실 서울 마포을은 험지이기도 하고, 김경율 비대위원도 결국 경선하겠다고 했는데도 문제가 됐나요?
한 위원장은 이기기 위한 인재 영입으로 봤지만, 당 주류 측은 한 위원장의 자기 정치로 봤습니다.
대통령실도 이 때부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는데요.
"시스템 공천하겠다더니 대통령실이 한동훈 위원장 통해서 내려꽂겠다는 거냐"는 불만 목소리가 용산 곳곳으로 전달됐다고 합니다.
이러다 당협위원장들 탈당하면 선거 어떻게 치를 거냐는 말도 전달됐다고 하고요.
대통령도 주변에 "괜히 내가 오해받고 있다"며 "내 참모들에게도 특혜는 없다고 해 왔는데 그런 시스템 공천을 법을 잘 아는 한동훈 비대위원장에게 기대했더니 오히려 거꾸로 간다"고 기대를 접었다는 게 주류 측 설명입니다.
Q. 공천과는 별개로 김건희 여사 관련 발언도 문제가 된 겁니까?
네, 맞습니다.
주류 측은 명품백 수수 의혹을 꺼내면서 야당에 빌미만 줬다는 불만이 큽니다.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김경율 비대위원이 제기하자 오히려 힘을 보태 마치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했다는 건데요.
이건 아버지와의 인연을 빙자해 함정 몰카를 찍은 게 본질이다, 전후 맥락을 한 위원장에게 여러 차례 설명했는데도, 국민 눈높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는 겁니다.
그러다보니 "대통령 임기가 아직 3년이나 남았는데 벌써 차기 권력인 거냐, 독자노선 탄다는 것이냐"는 의심까지 더해진 상황입니다.
Q. 한동훈 위원장, 사퇴 요구를 받았는데, 답은? no인 것 같죠?
네. 저희가 주변을 취재해보니 한 위원장 사퇴 요구를 받은 이후 주변에 "당 대표로서 할 일을 해나가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집니다.
사퇴를 안 하겠다는 거죠.
Q. 그럼 어떻게 되는 겁니까?
주류 측은 이미 돌이키기에는 늦었다는 목소리들이 나옵니다.
한 위원장을 향한 대통령의 인간적 배신감이 크다는 이야기들도 흘러나오는데요.
자진 사퇴 결심을 안 할 경우 내일 당장 의총을 열어서 사퇴를 힘으로 밀어붙이겠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니 윤재옥 원내대표를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 하고, 조기 선대위로 선거를 치르는 안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 규정상 비대위원장이 버틸 경우 억지로 끌어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든듯 한 위원장은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집니다.
한동훈 없이 윤석열 대통령만으로 선거 치를 수 있는 거냐는 여론을 앞세울 걸로 보이는데요.
물러서든, 버티든 여권의 극한 분열에 공멸할 거라는 위기감이 내부에서 제기됩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극적으로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 측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결론이 나든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진 않습니다.
Q. 지금까지 정치부 안보겸 기자였습니다.
안보겸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