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9일 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동아일보입니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지막 협상이 오는 25일부터 부산에서 열립니다. 지금껏 진행된 협상에선 각국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서 별다른 성과는 없었는데요. 플라스틱 소비국과 생산국의 입장 차가 여전히 팽팽합니다. 주요 쟁점은 플라스틱의 원료, '폴리머' 의 감축 여부입니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환경감시선이 8년 만에 부산항에 입항한 모습입니다. 그린피스 포함, 세계 170여개국 대표단 등 4천여 명이 부산을 찾는다고 하는데요. 플라스틱 생산 시점을 폴리머 생산으로 볼 건지, 아니면 플라스틱 제품이 완성된 시점으로 볼 건지를 두고 이 많은 사람들이 치열하게 토론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와 EU 등 플라스틱 소비국들은 폴리머 생산부터 줄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산유국이거나 석유화학 산업이 발달한 국가들은 입장이 다릅니다. 생산 규제보단 재활용과 폐기물 관리에 관중해야 한다는 겁니다. 플라스틱 유해성을 두고도 생산국과 소비국의 의견이 다르고요. 업계에 따라서도 기업들의 견해차가 확연합니다. 이번에 협약이 체결돼도, 재원 마련 방식을 두고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견이 갈립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협약이 타결되면 일단 큰 방향만 정하고 세부사항은 점차 보완해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는데요. 과연 교토의정서에 버금가는 '부산협약'이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 가지고 지켜보시죠.
다음 중앙일보입니다.
25개 자치구가 각각 얼마나 재활용을 잘하고 있는지, 서울시가 평가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커피 찌꺼기, 커피박을 재활용해서 종량제 폐기물 9.5%를 줄인 송파구가 대상을 받았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책들이 있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보겠습니다. 송파구는 쓰레기 수거 업체가 수거한 커피박을 비료나 사료로 재활용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송파구 커피숍은 1년간 16% 늘었는데 쓰레기로 배출되는 커피박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이런 재활용 성과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상을 받았습니다. 최우수상은 3천 개소 이상의 재활용 정거장을 운영한 관악구, 그리고 봉제 원단 재활용량이 제일 많았던 중구가 차지했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리배출과 포인트 정산 장비를 도입한 은평구도 눈길을 끌고요. 노원구는 지난해보다 훨씬 많은 폐비닐을 재활용해서 좋은 평가를 받았... (중략)
YTN 정채운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41119070123205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