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영수 앵커, 강려원 앵커
■ 출연 : 장영근 / 항공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라 앞으로는 고체연료 로켓을 우리 기술로 만들어서 쏠 수 있게 됩니다.
이번 개정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장영근 항공대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장 교수님, 나와 계십니까?
[장영근]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청와대 발표를 요약해 보면 액체연료로만 쏠 수 있었던 그리고 만들 수 있었던 발사체를 고체연료 엔진로켓으로도 만들 수 있게 됐다는 거 아닙니까?
그러면 실제 우주로켓을 쏠 때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 겁니까?
[장영근]
지금 통상적으로 보면 사실 발사체 그러니까 인공위성 발사체로 쓰는 건 대부분 다 액체로켓을 많이 썼고요.
최근에는 고체로켓이 아까 기자분이 설명하신 것처럼 비교적 구조가 단순합니다.
그러니까 보통 액체로켓을 우리가 엔진이라고 하는 건 그 안에 연료실이라든가 펌프라든가 터바인이라든가 이런 게 다 필요한 거고요.
고체로켓은 엔진이라고 안 하고 모터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그 이야기는 무슨 이야기냐면 그냥 굉장히 구조가 단순하죠.
연소실 안에 고체덩어리에 연료와 산화제가 뭉쳐 있으면 그걸 점화를 시키면 추력이 나오는 거거든요.
현실적으로 고체로켓이 제작하기도 작을 경우에는 단순하고 그리고 사용하기에도 굉장히 액체로켓보다는 메커니즘이 복잡하지 않죠.
그래서 최근에는 저궤도 발사체용으로는 여러 가지 고체 추진제 위성발사체가 나와 있죠. 이태리의 베가라든가 인도의 PSLV라든가 이런 것들이 나와 있습니다.
사실 위성은 우리가 만들기는 했지만 발사로켓은 주로 해외 로켓 기술자에 의존을 했거든요.
그럼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 손으로 직접 로켓을 만들어서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게 된 겁니까?
[장영근]
발사체를 만든다는 게 미사일도 그렇지만 간단하지는 않고요. 우리가 이제 기본적으로 고체 추진제 로켓 기술은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어요.
왜냐하면 현무미사일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게 고체추진제 로켓으로 구성돼 있어요. 그래서 예를 들면 저는 계산은 아직 못 해 봤지만 실질적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는 로켓 모터 크기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0728160208111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