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면서, 전국 곳곳에 풍력발전기도 우후죽순 늘어났습니다.
그런데 마을의 애물단지가 되기도 합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정다은 기자]
제주도는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전력수요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우는 걸 목표로 삼고 있는데요. 하지만 제 뒤로 보이는 풍력발전기는 수시로 발전을 멈춰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현장으로 갑니다.
풍력발전기를 멈출 수밖에 없는 이유,
지금도 수요보다 많은 에너지가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전력 공급망에 수요를 넘는 전력량이 들어오게 되면 대규모 정전사태, 광역 정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김영환 / 전력거래소 제주지사 본부장]
"모든 에너지는 생산된 만큼 반드시 소비돼야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을 초과해서 공급하면 전력계통이 붕괴됩니다."
풍력이나 태양광처럼 신재생발전 설비가 우후죽순으로 들어서면서, 발전을 멈추는 출력 제어 조치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제주도의 경우 지난해 전력량의 80%는 육지에서 오는 전기나 전통적인 발전 방식,
20%는 풍력과 태양광으로 충당했습니다.
풍력과 태양광의 발전량이 일정치 않다보니 무작정 늘릴 수도 없는 상황.
[김영환 / 전력거래소 제주지사 본부장]
"지난해 우리가 사용한 전력량의 20%를 풍력·태양광 설비에서 공급됐는데요.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많이 저장할 수는 없고요."
초과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과 육지로 보낼 수 있는 전송망이 부족하다보니 발전을 중단하는 상황이 생기는 겁니다.
발전기가 무용지물이 된 사례도 있습니다.
지난 2011년부터 부산 수영구에 세워졌던 풍력발전기 일부는 프로펠러가 아예 떨어져 나갔습니다.
[정다은 기자]
고장 난 채 이곳에 방치돼 있던 소형 풍력발전기 8대는 결국 지난 2월 모두 철거됐습니다.
[부산 수영구청 관계자]
"5~6년 쓰다가 고장났는데 수리가 안 돼요. 그 (발전기) 회사가 망했다네요. 유지관리비, 안전(우려), 발전량도 미미해서 폐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자체마다 앞다퉈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늘리는 상황.
건설 예정지에서는 주민들의 반발도 거셉니다.
[이운성 / 청사포해상풍력 반대대책위 위원장]
"배가 시동걸면 새벽에는 저기(주거지역)까지 윙 소리가 들리거든요.풍력 9개가 들어서면 무조건 저주파 소리가 들린다고."
[천대원 / 부산 신암 어촌계장]
"풍력단지로 조성된 지역은 항해 금지구역이 돼버려요. 이건 어민들 죽으라는 거예요."
재생에너지를 늘리기 전에 시장 여건부터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전영환 / 홍익대 전기공학부 교수]
"재생에너지 선진국은 (전력) 시장제도가 이미 갖춰져 있어요.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초과발전) 문제가 해결이 되고 있는데."
에너지 전환 정책에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PD : 김남준 장동하
정다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