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스며든 비대면 진료…코로나 이후에도 유지될까
[앵커]
코로나 시국에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 엔데믹을 앞두고 존폐의 갈림길에 섰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만큼 제도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지만 아직 풀어야 할 난제는 산적해 있습니다.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하던 재작년 2월, 정부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의료법상 불법인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습니다.
긴급 상황에 갑작스럽게 도입됐음에도 비대면 진료는 사람들의 삶에 안착한 모습입니다.
비대면 진료 이용 건수는 도입 직후부터 유행이 잦아든 최근까지 한 달에 10~20만 건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크게 유행한 연초에는 50만 건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
엔데믹 상황에 맞게 진료 과목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제도 도입 목적인 코로나19 치료보다 소아과, 피부과 등 다른 과목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2, 3월에는 코로나가 많았고, 지금 저희가 타깃하고 있는 환자들은 만성질환자들…애기들 데리고 나가는 게 엄청난 일이니까 (소아과)…내과 환자들, 탈모 환자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 안팎에선 비대면 진료가 제도화될 거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업체들은 이미 제도화가 가능한 영역을 판단해 서비스 개편에 나섰고
"어디까지 허용 범위를 줄지에 대한 논의를…저희는 재진 위주로 서비스를 보고 있긴 했었거든요."
상위권 업체들은 최근 수백 억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새 정부가 국정 과제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선정한 점도 긍정적 전망에 힘을 실었습니다.
하지만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의료계에는 여전히 반대 의견이 높고 불법 의료 행위를 막을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
[email protected])
#비대면진료 #원격의료 #오미크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