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조한 날씨로 전국 곳곳에 산불이 나면서 산불 진화용 헬기가 수시로 출동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발생한 경남 하동과 합천의 산불에도 진화헬기가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요.
지대가 높은 산악지형에서 불이 나면, 소방차나 진화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워 진화에는 헬기가 가장 효율적입니다.
산불 진화 헬기는 한번에 많은 물을 뿌려 산불 확산을 막고 많은 생명을 살리지만, 정작 헬기의 안전이 걱정될 때가 있는데요.
노후화된 헬기로 인한 사고가 이미 수차례 반복됐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11월, 강원도 양양에서 산불 계도 임차 헬기가 추락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계도 방송을 하던 헬기가 갑자기 빙글빙글 돌더니 수직으로 떨어졌습니다.
이 사고로 70대 기장을 비롯해 탑승객 5명이 숨졌습니다.
당시 사고 헬기는 속초·고성·양양 등 지자체가 공동으로 임차해 운용하던 헬기였는데요.
미국에서 1975년에 만들어져 사고 당시 헬기의 나이, 기령이 47년이었습니다.
이런 이유 탓에 산림청 헬기 조종사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는데요.
산림청 자료를 봤더니, 산림청 헬기 48대 가운데 32대가 20년이 넘은 오래된 헬기였습니다.
평균 연식은 23년 정도였습니다.
특히 러시아제 헬기가 걱정인데요.
낡아서 정비를 자주 해야 하는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길어지면서 헬기 부품을 구하는 것도 어려워졌습니다.
점검에서 결함이나 기체 이상을 발견해도 헬기를 고치기 어려운 거죠.
산림청은 오는 2025년까지 새로운 기종 헬기 50대 확충을 목표로 노후화한 경년 헬기를 점차 교체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교체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검사 기준을 높여 안전에 더 신경을 써야겠죠.
자동차가 2년에 한 번씩 종합검사를 받는 것처럼 모든 헬기는 1년에 한 번씩 감항 검사라는 것을 받는데요.
민간 헬기는 기령이 40년 이상이면 1년에 두 번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검사를 통과하면 수명이 연장돼 운행할 수 있는데요.
법적으로 강제 퇴역 기준이 없어 얼마나 노후화됐는지 상관없이 운항이 가능한 겁니다.
전문가들은 헬기 기령에 따라 검사 기준을 달리해야 한다고 지적하는데요.
헬기 감항 검사는 사람으로 치면 건강검진과 같아서, 기령이 많을수록 검사의 기준 자체를 높여야 한다는 겁니다.
또 헬기를 빌린 지자체 차원에서의 안전 조치도 중요하다고 강조... (중략)
YTN 엄지민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30314144215234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