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외 경제 이슈를 알기 쉽게 쏙쏙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금요일의 남자,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홍기빈]
안녕하세요.
뉴스라이더 초반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발언이 있었거든요. 그거 듣고 왔는데, 저희가 주요 발언을 잠시 요약했습니다. 듣고 오실게요. 설 연휴 앞두고 정부의 고심도 참 깊은 것 같더라고요. 지난해 물가 참 많이 올랐잖아요. 그래서 그런가 지난해 연간 소비가 크게 줄었습니다. 2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라고 하는데 물가 때문일까요? 어떤 원인이 있다고 보십니까?
[홍기빈]
일단 표면적인 원인을 보자면 두 가지 부분이 크게 두드러지는데요. 하나는 해외여행이고 또 하나는 요즘 많이 얘기되는 해외직구거든요. 해외여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건 이해할 수 있죠. 팬데믹 여파가 거의 완전히 사라졌고. 그러니까 옛날의 해외여행 수요가 다시 살아난 겁니다.
그러니까 이게 국내에서 소비가 되지 않고 외국에서 쓰이는 돈이니까 그것이 우선 나타났고요. 그다음에 지금 말씀하신 대로 물가하고 물가랑 금리랑 같은 문제죠. 이게 다 사람들의 구매력을 깎아먹는 요소가 되니까 좀 싼 물건이 없냐 하다 보니까 알리라든가 이런 외국에 있는 직구 사이트 같은 것들을 굉장히 많이 사용하게 되니까 이것들로 민간소비가 줄었다고 말이 나와요.
그런데 배후에 있는 건 말할 필요도 없이 아까 녹취 부분에서도 언급됐지만 물가가 너무 높고 금리가 너무 높은 상황이 되니까 사람들 구매력이 줄어든 게 근본적인 원인이다, 이렇게 봐야 되겠죠.
사실 내 주머니에 두둑하게 돈이 있으면 굳이 해외 사이트 가서 번역해가면서 물건 살 필요도 없고 그럴 텐데, 너무 내가 빠듯하니까 한 푼이라도 더 저렴하게 사기 위해서 이왕 사야 되는 제품이 있으면. 그래서 해외직구를 알아보게 된단 말이에요. 저도 그렇거든요. 소장님도 직구 하십니까?
[홍기빈]
저는 주로 책을 사니까 그렇기는 한데... 저도 하나 다운받아서 해볼 생각입니다.
소장님마저 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020209101643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