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정부안 철회"…정부는 "청취 노력"
[뉴스리뷰]
[앵커]
강제동원 배상 문제 관련, 정부가 내놓은 해법안에 대한 파장이 그 다음날에도 이어졌습니다.
생존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정부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외교부는 개별 소통과 설득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 갈등이 봉합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들은 정부가 내놓은 해법을 조목조목 규탄했습니다.
대법원에서 배상 책임을 인정한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판결 불복"이라고 지적했습니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하는 것과 피해자들이 요구한 강제동원 공식 인정은 "무관하다"고도 비판했습니다.
구순을 넘긴 할머니들은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그런 것은 굶어 죽어도 안 받아요. 내가 왜 그런 돈을 받아요. 더러운 돈은 안 받아요."
"공부도 하고 일을 하면 돈도 준다고 그렇게 꼬셔서 데리고 가서 평생 골병들게 만들어놓고 지금은 나몰라라 하고 있으니, 우리는 어디다 대고 하소연을 합니까…"
피해자 지원단체들은 "전범 기업으로부터 직접 배상금을 받을 수 있게 필요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법원에 맡기는 공탁에 나설 경우 이를 무효화하는 절차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외교부는 피해자들에게 대법원 판결에 따른 권리를 당연히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고 설득 작업도 지속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정부 차원의 그간의 노력과 정부 입장, 그다음에 피해자 측의 의견을 청취하고 그분들의 이해를 높이고 또한, 동의를 구하는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입니다."
외교부는 대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 15명 가운데 연락이 끊긴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피해자들에게 정부안을 설명하는 절차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
[email protected])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