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자립은 걸음마 수준…"지원 늘려야"
[앵커]
발달장애인들이 지역사회 속에서 자립해 살 수 있는 필수 조건은 바로 일자리입니다.
지역 주민들의 협력으로 발달장애인들의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사례도 나오는데, 취업과 연계한 사회적 지원 시스템이 절실하다는 지적입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주문하신 음료 준비해드리겠습니다!"
커피 원두 부서지는 소리가 요란하게 나고, 음료 한 잔이 금새 만들어집니다.
10여 명의 직원들이 모두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카페입니다.
"제가 만든 커피를 지역사회 모든 고객님들께 드릴 때가 보람되고 행복합니다. 부모님도 대견하다고 자랑스러워 하십니다."
점심시간입니다.
손님들이 몰리면서 발달장애인 직원들이 바쁘게 주문을 받고 있는데요.
여느 카페와 다를 바 없는 모습입니다.
지역 내 한국난방공사의 수천만 원대 기부와 식당 주인의 공간 제공과 지자체의 용도 변경 허가까지.
1년 반 전에 시작된 이 카페는 지난 1월 2호점까지 냈습니다.
"직업을 가져야만이 지역주민들과 쉽게 사회 참여하면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선의로 일자리가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아직까지 발달장애인 일자리는 공급 자체가 부족해 기회를 얻는 것조차 쉽지 않습니다.
장애인들이 거리로 나서 지자체 중심이 아닌 국가 차원으로 일자리 예산 지원을 늘려달라고 요구하는 이유입니다.
발달장애인의 경우 경제활동 상태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데, 발달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0.1%, 고용율은 28%에 불과합니다.
14만 명이 넘는 발달장애인들이 비경제활동으로 묶인단 점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지역사회 자립은 걸음마 수준입니다.
학계에선 발달장애인 종합계획을 추진해 개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랑스나, 국가 책무를 강조해 취업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본과 같은 사례를 참고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
[email protected])
#발달장애 #일자리 #지원사업 #경제활동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